2008. 5. 14. 20:32

이통 3사 무선 인터넷 ‘오픈넷’으로 통일



휴대폰 무선인터넷 버튼을 눌러 ‘네이트’ 같은 이동통신사 자체 포털사이트가 아닌 개방된 포털사이트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 KTF, LG텔레콤 등 이통 3사는 망 개방 무선포털을 ‘오픈넷’이라는 공동브랜드로 서비스를 본격화한다. 우선 14일 SK텔레콤이 지난해 7월에 론칭한 망 개방 사이트 ‘오픈아이’의 이름을 ‘오픈넷’으로 바꾸고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했다. 뒤이어 15일부터 LG텔레콤, KTF가 오픈넷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통 3사에 ‘오픈넷’ 이라는 같은 이름의 포털사이트가 열리면서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이용자들도 초기화면에서 다른 포털 및 인터넷사이트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기업들도 개방된 무선망에서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 홍보매체로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무선인터넷 이용에 따라 발생하는 과도한 데이터통화료 부담, 음란물 등 불건전 콘텐츠 확산, 업데이트 되지 않는 부실한 콘텐츠 제공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통 3사 일제히 ‘오픈넷’ 열어

SK텔레콤은 이통 3사 중 처음으로 ‘오픈넷’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했다. 포털, 쇼핑, 뉴스신문, 금융 등 850개의 다양한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테마, 키워드, 디렉토리 등 다양한 검색 내용을 첫 화면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다.

KTF도 16일부터 ‘오픈넷’으로 무선망을 개방한다. KTF는 파란, 네이버, 다음, SBS, 삼성증권, 롯데우리홈쇼핑, 각 지자체의 버스 교통정보 등 1200여개 사이트에 무선망을 열어놨다. KTF 비즈기획팀 신진기 팀장은 “앞으로 휴대폰 대기화면 서비스(팝업)에서 원하는 사이트에 바로 연결되도록 망개방 사이트 접속경로를 더욱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LG텔레콤도 15일부터 자체 망개방 포털 ‘오픈존’을 ‘오픈넷’으로 바꾸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픈넷에 들어가기 위해선 두번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휴대폰에서 ‘네이트’(SK텔레콤), ‘매직엔’ 또는 ‘쇼’(KTF), ‘이지아이’(LG텔레콤) 버튼을 짧게 한번 누르면 초기메뉴 화면에서 여러 개 아이콘 중 ‘WINC(윙크)’ 라는 아이콘을 선택해 클릭하면 된다. 그러나 무선인터넷 버튼을 길게 누르면 네이트나 매직엔 같은 이통사 자체 무선포털사이트로 들어간다. 이럴 경우엔 자체 포털사이트 화면 하단메뉴에 있는 ‘오픈넷’ 바로가기를 선택하면 된다.

앞으로는 더 편리해진다. 내년 6월 정도가 되면 SK텔레콤은 길게 누르는(롱키) 버튼 구분이 없이 ‘네이트’라는 무선인터넷 버튼을 한번 누르면 네이트, 윙크 등 초기화면에서 이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걸림돌은

무선인터넷 데이터 통화료가 부담이다. 유료 콘텐츠는 정보이용료도 별도로 내야 한다. 문제는 콘텐츠마다 발생 요금이 달라 예측하기 쉽지 않다는 것. 자칫 무심결에 썼다간 만만치 않은 요금을 내야 한다는 말이다. 정보이용료는 별도로 하고 데이터통화료만 따지면 사진 한장(40?j짜리) 받는데 72원 정도(1패킷 0.5 ?j당 0.9원)든다.

이 때문에 오픈넷을 효과적으로 쓰기 위해선 하루 2000원짜리 일정액제(KTF)나 월정액제(사용량 무제한 SK텔레콤 2만6000원, KTF 2만4000원)를 쓰는 게 효과적이다. 향후엔 유선전화의 수신자부담 ‘080’ 번호처럼 데이터통화료를 수신자(콘텐츠제공 사업자)가 부담할 수도 있다.

성인콘텐츠 등 불건전한 콘텐츠 유통이 확대될 것도 우려된다. 현재 윙크에 등록된 사이트 4800개 중 10% 정도가 음란물이다. 성인 인증 절차가 있긴 하지만 부모 명의의 휴대폰으로 쓸 경우 등엔 이를 막을 방안이 없다. LG텔레콤의 경우 이통 3사 중 유일하게 자체 포털에서 성인물 카테고리를 전면에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사후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한다. 현재 한국콘텐츠산업연합회에서 무선인터넷 콘텐츠를 사전심의하고 있는데 향후 모바일 인터넷이 활성화되면 이에 대한 심의가 제대로 진행될 것인지도 의문이다. 통신 관련 한 전문가는 “무선인터넷 콘텐츠를 사전 심의했다고 해도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콘텐츠를 일일이 사후 모니터링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음란물 등 불건전 콘텐츠가 늘어나 문제를 일으킬 경우 이통사가 망만 빌려준다고 할지라도 책임 소재가 논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